본문 바로가기
마케팅 정보

계절 마케팅 정의와 활용 사례

by 알 수 없는 사용자 2024. 6. 20.

안녕하세요, 여러분

엄지로 읽는 마케팅 엄마케터입니다.

오늘 제가 들고 온 마케팅 정보는

계절 마케팅입니다.

 

계절 마케팅은 계절에 따라

소비자의 욕구와 선호도가 변화하는 것을 이용하여

기업이 상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거나 홍보하는 전략입니다.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1) 계절성

계절에 따라 소비자의 욕구와

선호도가 변화하는 것을 이용합니다.

 

(2) 차별화

다른 기업과 차별화된 전략을 구사할 수 있습니다.

 

(3) 감성 자극

소비자의 감성을 자극하여

구매 욕구를 높일 수 있습니다.

 

(4) 이벤트

계절에 맞는 이벤트를 개최하여

소비자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봄에는 벚꽃 축제를 개최하거나,

여름에는 해변에서 이벤트를 개최하는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계절 마케팅은 기업의 매출을 증가시키는 데에 큰 역할을 할 수 있지만,

계절에 따라 소비자의 욕구와 선호도가 변화하기 때문에

기업은 이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에 맞는 전략을 수립해야합니다.

 

계절별 마케팅 사례

 

봄 : 의류 브랜드에서는 봄에 맞는 화사한 색상의 옷을 출시하고,

화장품 브랜드에서는 벚꽃을 테마로 한 제품을 출시합니다.

 

여름 : 식품 업계에서는 여름에 맞는 빙수, 아이스크림 등의 제품을 출시하고,

서점에서는 독서의 계절을 맞아 다양한 책을 소개합니다.

 

가을 : 패션 업계에서는 가을에 맞는 트렌치 코트, 니트 등의 제품을 출시하고,

서점에서는 독서의 계절을 맞아 댜앙한 책을 소개합니다.

 

겨울 : 음료 업계에서는  겨울에 맞는 따뜻한 음료를 출시하고,

가전 업계에서는 난방 가전제품을 출시합니다.

 

계절에 따라 소비자의 욕구와 선호도가 변화하기 때문에

기업은 이를 파악하여, 이에 맞는 마케팅 전략을 수립해야합니다.

 

 

기업 계절 마케팅 활용 사례

*코카콜라

크리스마스 시즌에 산타클로스를 활용한 마케팅을 진행합니다.

크리스마스 트리를 장식할 수 있는

오너먼트를 출시하여 소비자들의 참여를 유도합니다.

 

 

*SPC 삼립

겨울에 삼립호빵의 앙금이 들어간 죽,

삼립오빵죽 등 2종 이색상품을 출시했습니다.

 

*29CM

오프라인 매장 이구성수를 오픈하면서 가을을 테마로 잡았습니다.

노란 은행잎을 매달아 만든 구조물과 가을에 맞춰 큐레이션한 음악,

은행잎 모양의 의류택같이 소소한 디테일을 통해

방문객이 계절을 오감으로 느낄 수 있도록 했습니다.

 

*현대 홈쇼핑

계절감에 맞는 상품을 빠르게 선보이기 위해 노력합니다.

여름이 끝나가고 가을이 다가오자

패션업계는 가을/겨울 신상품 준비에 나서며

현대 홈쇼핑은 FW 패션 방송 일정을 앞당기며 후드 집업, 블라우스 등

가을과 어울리는 옷들을 선보였습니다.

 

 

*CU 편의점

지역별 기상 데이터를 전국 CU 점포에 전송하며,

POS에 가상 현황을 2시간마다 제공합니다.

이를 통해 날씨에 따라 상품의 판매량을 조절하고,

계절에 맞는 상품을 출시합니다.

 

위와 같은 계절 마케팅은 소비자의 욕구와 선호도를 파악하여,

기업의 매출을 증가시키는 데에 큰 역할을 합니다.

 

 

지금까지 계절 마케팅과 활용 사례에 대해 알아봤어요.

여러분이 좋아하는 계절은 무엇인지

댓글과 공감으로 소통해요!

 

마케팅 전문 대행 업체 링크

하단 배너에 남깁니다!

참고하셔서 많은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